상세 컨텐츠

본문 제목

크레인 주요 용어 정의 & 구조 및 기능

크레인

by 해리의크레인 2022. 12. 29. 20:22

본문

728x90

 

주요 용어 정의

● 정격하중(Rated Load) : 크레인의 권상(호이스팅) 하중에서 훅, 크래브 또는 버킷 등 달기기구의 중량에 상당하는 하중을 뺀 하중을 말한다. 다만, 지브가 있는 크레인 등으로서 경사각, 길이 등 위치에 따라 권상 능력이 달라지는 것은 그 위치에서의 권상하 중에서 달기기구의 중량을 뺀 하중을 말하며 최대의 정격 하중을 해당 크레인의 정격하중으로 표시한다.

 

● 정격속도(Rated speed) : 정격하중에 상당하는 하중을 크레인에 매달고 권상, 주행, 선회 또는 횡행할 수 있는 최고속도를 말한다.

 

● 연장구조물(Extending Structure) : 차대에 연결되어 유압 실린더와 와이어에 의해 인출·인입하고, 필요한 위치로 이동할 수 있게 하는 것을 말한다. 형식으로 단일(Single)형, 텔레스코프 (Telescoping Boom) 형, 관절지브(Articulating Boom)등이 있다.

 

● 차대(Chassis) : 차량의 하부체(Base)를 말한다.

 

● 안정기(Stabilizer) : 차량탑재형 이동식크레인의 전복사고를 방지하고 안정된 작업을 하기 위하여 이동식 크레인 전체 혹은 연장 구조물을 지지 또는 수평을 유지토록 하는 장치를 말하며 아웃트리거(Outrigger)라고도 한다.

 

● 기복(Luffing) : 수직면에서 지브 각(angle)의 변화를 말한다.

 

● 붐 길이(Boom Length) : 붐 고정핀에서 붐 선단 시브핀까지의 거리를 말한다.

 

● 작업반경(Operation Radius) : 선회중심으로부터 훅크 중심 까지의 거리를 말한다.

 

구조 및 기능

주요 구조

크레인 주요 구조

주요 기능

 

● 붐 (BOOM) : 사람의 팔과 같은 역할을 하며, 유압실린더와 와이 어에 의해 인출/인입하고 붐 끝단에 훅(HOOK)이 취부 되어 있음.

 

● 포스트 (POST) : 사람의 허리상부 몸통과 같은 역할을 하며, 붐, 윈치, 데릭실런더가 취부되어 있는 장치로 포스트 하부에 링 기어가 설치되어 선회동작을 한다.

 

● 프레임 (FRAME) : 사람의 허리하부 몸통과 같은 역할을 하며 프레임은 크레인을 차량에 고정시켜 주며 포스트와 조립되어 크레인을 선회시키는 장치로서 선회베어링, 로터리 조인트, 조작세트 등으로 구성되며, 아웃트리거를 지지한다.

 

일반 개요

 

● 아웃트리거 : 사람의 다리와 같이 지지대 역할을 하며, 프레이에 고정되어 크레인 작업시 전복 방지와 차량 새시의 보호를 위해 크레인을 지지한다.

 

● P.T.O : 엔진의 회전동력을 유압 펌프로 연결하고 힘을 전환하는 장치로서 실제적인 동력전달을 맡게된다.

 

● 훅 (HOOK) : 사람의 손과 같은 역할을 하며 윈치와 와이어로프로 연결되어 하중물을 걸고 상승, 하강작업을 한다.

 

● 데릭 실린더 : 붐을 올리거나(상승) 내리는(하강) 역할을 한다.

 

● 윈치 : 유압 모터로 구동하며, 드럼을 회전시켜 와이어로프를 감고, 풀고 하여 인양물을 상승, 하강시키는 작업을 한다.

 

주요 방호장치

● AML(Automatic Moment Limiter) 방식

- 붐 길이/각도 센서를 이용하여 정격하중, 작업반경 등을 제어.

크레인 AML

● 압력스위치 방식

-크레인 중량물 인양 시 데릭 상·하부 압력을 비교하여 과하중 여부를 판단하는 장치로 과학중시 압력스위치가 작동하고, 솔밸브를 동작시켜 크레인의 모멘트 증가방향 작동(데릭하강, 붐인출, 윈치상승)을 제한하는 방식.

크레인 압력 스위치 방식

일반 개요

주요 방호장치 기준

 

●과부하 방지장치

① 과부하방지장치는 정격하중의 1.1배 권상시 경 보와 함께 권상동작이 정지되고 과부하를 증가시키는 동작이 되지 않을 것.

② 임의로 조정할 수 없도록 봉인되어 있을 것.

③ 유압, 수압, 공기압 또는 증기압을 동력으로 사용하는 권상장 치는 유압, 수압, 공기압, 증기 압의 과상승을 방지하기 위한 안전밸브가 설치되고 설정(setting) 압력을 표시할 것.

 

●비상정지 장치

① 해당 크레인의 비상정지스위치를 작동한 경우 에는 작동 중인 동력이 차단될 것.

② 스위치의 복귀로 비상정지 조작 직전의 작동이 자동으로 되지 않을 것.

③ 비상정지용 누름버튼은 적색으로 머리 부분이 돌출되고 수동 복귀되는 형식일 것.

 

●권과 방지 장치

① 훅 등 달기기구의 상부와 트롤리프레임 등 접촉할 우려가 있는 것의 하부와의 간격을 측정하여 0.25미터 이상(직동식은 0.05미터 이상)이 되어야 하며 정상적으로 작동할 것.

② 레버 등은 변형 또는 마모가 없을 것.

 

●훅 해지 장치

① 해지장치는 균열, 변형 등이 없을 것.

② 훅 해지장치는 원활하게 작동될 것.

 

●경사각 지시장치

연장구조물(Boom)이 기복 하는 장치를 갖는 크레인은 운전자가 보기 쉬운 위치에 해당 연장 구조물의 경사각 지시장치를 구비할 것. (각도센서를 부착한 경우에는 예외로 함)

 

※ 기타 내용은 고용노동부 고시 “안전검사 고시”를 참조한다.

관련글 더보기

댓글 영역